전체 글 119

대형목의 이식 및 토양 관리

대형목 의 근원직경 30cm 을 기준으로 이식시 절제되는 뿌리의 양은 수형에 따라 다르나 보통70%가량 절제되고 30%(전문서적)가량이 굴취되어 현장에 이동 된다. 천근성 수종인 자작나무는 뿌리가 근원부가 아닌 멀리 뻗어나가서 잔뿌리가 형성되므로 이보다 절제량이 많다고 볼수 있다.뿌리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활착률이 저하되는 주요원인중 하나다. 심근성 수종인 참나무도 세근이 뿌리분 근계보다 멀리 형성되어 자작나무와 같이 이식 성공율이 적은 수목으로 분류된다. T/R율 조절로 수목의 활력도를 높일 수있다 -식재후 잎의 뿌리분과 자체 영양분을 일시. 단기간 소진후 쇠약. -> 증산억제/영양분소진 지연 조치필요 : 제엽및 곁가지 제거 수형을 구성하는 줄기.주가지를 제외한 하부전지. 형태유지로 품질은 유지.수세증..

응애 및 진딧물 흡즙성해중 구제방법

응애 및 진딧물 흡즙성해중 구제방법 살비제 출처 : 라펜트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2567#URL 응애 및 진딧물 흡즙성(吸汁性)해충 구제방제 글_정강영 ㈜예주나무병원 원장 ◆ 서두 우리는 일반적으로 전문서적과 교육 강의를 통하여 여러 병·해충 정보를 얻고 있다. 그러나 기술된 내용 중 병·해충의 생활사와 피해시기 등 “현장 실무에서 그대로 나타나는가?”하는 의문을 한 번쯤은 가져봤을 것이다. 이러한 이론들은 대동소이(大同小異)하며 현장에서 그대로 유효했었으나 금년 7~8월은 매일 갱신되는 기록적 폭염으로 인하여 평년과 많이 다른 양상을 띠었다. 조경관리의 수학(修學)할 때, “건조하면 해충의 발생이 심하고, 습도가 높으면 병해의 피..

쇠약한 수목 수세회복사례 기술

나무병원의 '조경식재 하자저감 이론과 실무적 관리-11 출처 : 라펜트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3627 나무병원의 ‘조경식재 하자저감 이론과 실무적 관리’ - 11 쇠약한 수목 수세회복사례 기술 글_정강영 ㈜예주나무병원 원장 ◆ 서두 근래 사무실에 출근하여 창밖을 보고 있으면 햇살이 많이 따스해졌음을 피부로 느낄 수 있다. 다소 이르지만 날씨가 봄을 재촉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보게 된다. 가장 먼저 정원의 봄을 알리는 매화의 꽃봉오리는 많이 부풀어 올랐으며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立春)’도 어느새 지났다. 예년과 비교하여 12월에 걸쳐 올해 1월에는 한파도 거의 없었고, 대기온도 역시 전년도 대비 평균 3℃ 이상 높아졌다. 그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