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시공학

서양조경사> 영국의 풍경식정원

오경권 2015. 2. 9. 11:05

서양조경사> 영국의 풍경식정원

박지영 2010-11-30 16:23:37 주소복사
조회 526  스크랩 0

영국의 풍경식 정원은 정형적이고 건축적인 정원 예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프랑스 르 노트르 양식에서부터 시작된 정형적인 정원 양식은

평면기하학적인 축을 중심으로 한 정원의 배치와

자수화단, 대칭화단 등으로 장식적인 정원을 조성하는 형태로 

그 영향이 17세기 말까지 이어지게됩니다.

 

이와같이 영국의 풍경식 정원은

끊임없이 반복된 기하학적인 형태의 정원에 대한 실증과

평탄한 지형의 프랑스와 달리 완만한 구릉이 펼쳐진 영국의 자연환경에 어울리지 않는

평면기하학식 정원에 대한 문제제기로 인하여

새로운 정원양식의 요구로 인하여 대두되었습니다.

 

영국의 풍경식 정원은 당시의 여러 사회, 사상, 예술의 영향으로 인하여

그 정체성을 형성하게 됩니다.

특히 풍경화의 영향을 받아 회화성을 공간에 반영시키며

상상력을 자극하는 어떤 종류의 불완전함·의외성에 기초한

Picturesque style(회화성)이 등장하게 되어

영국의 목가적인 자연풍경이 펼쳐지는 영국 풍경식 정원양식이 등장합니다.

이는 중국의 영향도 다수 있으며

이때 중국 정원의 사상은 이해하지 못하고 외형만을 받아드려

풍경식 정원에 도입하게 됩니다.

 

또한 당시 사회를 풍미한 계몽주의 사상-인간 이성에 대한 확신의 영향으로  

풍경식 정원에서 정원과 경관을 배경으로 인간 행동이 중심적으로 부각되었습니다.

이때 정원에서는 방문자의 이해가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또한 영국의 정원은 감상하는 것보다는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경제적 측면을 고려한 것 또한

풍경식 정원이 대두되게 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영국 풍경식 정원의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국의 풍경식 정원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스토우 가든을 살펴보면

브릿짓맨이 조경을, 반브로프가 건축을 맡아 조성한 이 정원은

18세기 영국의 정원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축을 설정하여 배치하고 자수화단과 분수, 운하등이 있습니다.

프랑스정원과의 차이점은 하하기법의 도입과 축선의 빗나간 각도입니다.

브릿지맨이 조성한 다음 켄트는 스토우가든의 기하학적인 선을 없애가며

정원을 부드럽게 수정하였고 브라운이 켄트가 죽은 후 다시 스토우가든을 수정하였습니다.

 

 

다음으로는 스투어헤드인데요

아마추어 조경가인 헨리 호어가 손수 설계하여 나무심기를 시작하고

켄트브릿지맨이 디자인한 작품으로

자연을 배회하는 영웅의 인생항로에 대한 전설적인 테마를 가지고 정원을 설계하였습니다.

오벨리스크로 정원과 저택을 연결하고

신화속의 사건을 연상하도록 정원을 구성하였습니다.

정원 구성은 풍경화의 법칙에 따라 구성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브라운랩턴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브라운은 켄트에 이은 풍경식정원의 거장으로

스토우 가든을 비롯한 수많은 정원들이 그의 설계로 수정이 되었습니다.

 

브라운의 설계에 있어서 기본적인 개념은

부드러운 기복의 잔디밭과 거울같이 잔잔한 수면,

우거진 나무숲이나 덤불, 빛과 그늘의 대조에 있습니다.

 

풍경파 작가들이 브라운을 기본적 소양이 없는 조경가로 비난하던 대

험프리 랩턴은 브라운을 지지하는 조경가 중 한명이었습니다.

 

랩턴 landscape gardener란 명칭을 쓴 최초의 조경가

브라운의 이론에 영향을 받았지만

브라운의 스타일에 장식적인 요소를 적절히 섞은 스타일의 설계를 했습니다.

 

그는 정원설계나 개조에 대한 의뢰를 받으면

항상 개조된 전후의 모습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설득력 있는 스케치를 준비했는데

이를 red book이라고 하였습니다.  

 

브라운의 양식은 많은 회화파의 조경가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았는데

랩턴은 이에 그의 저서에서 네가지 법칙을 제시하기도 하였습니다.

1. 정원의 자연성을 발휘하는 한편, 자연의 결함을 은폐할 수 있어야 한다.

2. 정원의 경계를 가장하거나 은폐함으로써 정원에 광활한 느낌과 자유로운 형태를 주어야 한다.

3. 아무리 값비싼 것이라도 그것이 풍경을 개선하는 한편

   전체적으로 자연적인 느낌을 주게 되는 것 이외에는

   의식적으로 은폐해 놓아야 한다.

4. 아무리 편리하고 쾌적한 것이라도 그것이 다소나마

    장식이나 경관의 일부가 될 수 없는 것은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은폐해야 한다. 

 

이런 이론을 살펴보면 랩턴은 자연성을 추구하였으나 실제적인 면을 존중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풍경학파도 조경사상에 기여한 공로가 있었습니다.

첫째로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전원풍경을 만들고자 노력했으며

옥외공간 형성에 기여하게 되어

미국의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에게 영향을 주어 새로운 공간형태를 가져오게끔 하였습니다.